반응형
결혼식이나 장례식에 참석할 때 필요한 축의금, 부의금, 조의금 봉투. 이 글에서는 봉투를 올바르게 작성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💍 결혼식 – 축의금 봉투 작성법
✔ 봉투 앞면
- 주로 축결혼이라고 작성합니다.
- 대체 표현으로 축화혼, 하의 등이 있으나 축결혼이 가장 일반적입니다.
- 세로로, 검은 펜으로 정자체로 쓰는 것이 예의입니다.
✔ 봉투 뒷면
- 왼쪽 하단에 세로로 이름을 씁니다.
- 이름의 오른쪽 위에 소속이 있다면 작게 회사명, 학교명 등을 작성합니다.
- ‘친구’, ‘동료’ 등의 관계를 이름 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
💡 대부분 결혼식장에는 인쇄된 봉투가 준비되어 있으니, 직접 쓸 일이 있을 때만 참고하세요.
🕯 장례식 – 부의금 및 조의금 봉투 작성법
✔ 봉투 앞면
- 가장 일반적인 문구는 부의입니다.
- 근조, 추모, 조의도 상황에 따라 사용 가능.
- 흰 봉투에 검은 펜으로 세로로 또박또박 작성합니다.
✔ 봉투 뒷면
- 축의금 봉투와 동일하게 작성합니다.
- 단체일 경우 단체명만 써도 무방합니다.
⚠ 실수로 축의금 봉투를 가져가지 않도록, 용도와 색상 반드시 확인하세요.
✍ 봉투 작성 Tip
- 펜: 검은색 수성펜 사용 (볼펜은 번질 수 있음)
- 글씨체: 정자체로 천천히 쓰기
- 실수 시: 새 봉투에 다시 작성
- 봉투 상태: 구겨지거나 오염된 봉투는 사용 금지
📊 경조사 봉투 예절 요약 표
종류 | 앞면 문구 | 뒷면 표기 | 금액 예시 | 봉투 색상 |
---|---|---|---|---|
축의금 | 축결혼 | 이름, 소속 | 5만 / 10만 원 | 흰색 |
부의금 | 부의, 근조 | 이름, 소속 | 3만 / 5만 원 | 흰색 |
조의금 | 조의 | 이름, 소속 | 5만 원 | 흰색 |
⚠ 흔한 실수 및 대처법
- ❌ 축의금 봉투를 장례식에 사용 → ✅ 새 봉투로 재작성
- ❌ 짝수 금액(예: 4만원) → ✅ 홀수 금액(3만원, 5만원 등)으로 조정
- ❌ 소속 생략 → ✅ 소속 기재시 더 정중한 인상
- ❌ 지저분한 글씨 → ✅ 천천히 깔끔하게 쓰기
💬 실전 후기 모음
- 후기 1: 친구 결혼식에 축결혼, 친밀도와 경제적상황에 따라 많이 내면 → 칭찬받음
- 후기 2: 장례식에 축의금 봉투 가져감 → 당황했지만 금액은 맞아 괜찮았음
- 후기 3: 조의금 정성껏 작성하니 유족에게 감사 인사 받음
- 후기 4: 금액에 따라 봉투 크기 바꿔야 한다는 걸 배움
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Q: 축의금 봉투엔 뭐라고 쓰나요?
A: 보통 ‘축결혼’이라고 씁니다. 검은 펜으로 세로로 큼직하게 작성하세요.
A: 보통 ‘축결혼’이라고 씁니다. 검은 펜으로 세로로 큼직하게 작성하세요.
Q: 부의금과 조의금은 무엇이 다른가요?
A: 부의금은 근조, 부의로 표현하고, 조의금은 조의라고 씁니다. 의미는 비슷하지만 조의는 좀 더 깊은 슬픔을 담는 표현입니다.
A: 부의금은 근조, 부의로 표현하고, 조의금은 조의라고 씁니다. 의미는 비슷하지만 조의는 좀 더 깊은 슬픔을 담는 표현입니다.
Q: 봉투에 소속 꼭 써야 하나요?
A: 꼭은 아니지만, 회사나 단체 지인의 경우 소속을 작게 함께 적는 것이 예의입니다.
A: 꼭은 아니지만, 회사나 단체 지인의 경우 소속을 작게 함께 적는 것이 예의입니다.
Q: 금액에 따라 봉투 크기 바꿔야 하나요?
A: 네, 일반적으로 5만 원 이하 작은 봉투, 10만 원 이상은 중간 크기 봉투가 적당합니다.
A: 네, 일반적으로 5만 원 이하 작은 봉투, 10만 원 이상은 중간 크기 봉투가 적당합니다.
Q: 봉투를 잘못 쓰면 어떻게 하나요?
A: 새 봉투에 정정해서 다시 쓰는 것이 좋습니다. 실수를 줄이려면 미리 점검하세요.
A: 새 봉투에 정정해서 다시 쓰는 것이 좋습니다. 실수를 줄이려면 미리 점검하세요.
✅ 마무리 체크리스트
- ✔ 앞면 문구 확인: 축결혼, 부의, 조의
- ✔ 뒷면 이름/소속 세로 작성
- ✔ 검은 펜 사용
- ✔ 홀수 금액 준비
- ✔ 봉투 크기 및 상태 점검
0123456
이제 경조사 봉투 작성이 막막하지 않으시죠? 상황에 맞게 차분히 준비해보세요. 예의를 갖춘 작은 정성이 큰 인상을 남깁니다.

반응형